본문 바로가기

사회

트렌드 읽기 따라잡기 트렌드 분석

트렌드 읽기와 트렌드를 분석하다. 

 

 

 

 

 

 

 

 

나는 트렌드의 밑바닥에는 언제나 사람들의 열망이나 관심이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트렌드라는 것은 억지로 트렌드를 만들려고 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언론이 트렌드를 만들어내는 것 같지만

 

트렌드는 언론이 사람들에게서 발견해내는 것이다.

 

 

 

 

 

 


 

감추어진 욕망이나 열망이나 관심 등을 잘 캐치하면 대박을 터트릴 수 있는 것이다.

 

지금의 메가 트렌드 중 하나는 90년대 후반에 대한 추억을 들 수 있다.

 

 

 

IMF 시절 이전 아직 디지털 보다는 아날로그가 대세를 이루고 있던 시절,

 

아직 감수성을 논할 수 있는 마지막 시대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지금의 복고 열풍에서 90년대를 다루는 방식은

 

이전과는 사뭇 다르다.

 

지금의 트렌드를 분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그 트렌드를 사람들이, 그리고 매체가 어떻게 다루는지이다.

 

대부분의 복고 열풍에서 중심 중 하나는  웃음이었다.

 

 

 

 

 

 

 

 

지금 세대가 이전 세대를 추억할 때

 

감동도 있겠지만 웃음이 복고 코드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였다.

 

근래에 있었던 티아라의 롤리폴리도 코믹한 요소를 가미했고

 

그런 풍조에 있어 대표적인 것은 유세윤의 복학생이었다.

 

 

 

 

 

 

 

하지만 이번 복고 트렌드에서 웃음기라는 것을 읽기는 어렵다.

 

오히려 웃음기 보다는 눈물을 더욱 많이 읽을 수 있다.

 

 

 

 

 

 

 

 

없다는 것이 아니라 웃음기는 아주 부차적인 요소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건축학개론과 응답하라 1997에서 가장 빈번하게 포착되고

 

읽히는 것은 바로 '아련함'이다.

 

그 시대에 대한 어떤 '동경'마저 읽을 수 있다.

 

 

 

 

 

 

 

 

지난 IMF를 불러왔던 국정책임자 덕분에

 

우리나라 전체가 IMF 이전을 추억해야 한다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한 사람의 역할이란 것이, 이렇게도 많은 사람들을

 

고통스럽게 할 수 있다는 것, 그래서 정치인은 잘 뽑고 봐야한다는 결론으로 이르네;;;

 

 

 

 

 

 

 

 

어쨌건 지금의 삶이 매우 고통스럽다는 것을

 

지난 세대를 추억하는 아련함을 많은 매체에서 읽어내면서

 

더욱 피부로 느낄 수 있다.

 

 

 

 

 

 

 

 

 

어쩌면 그런 지난세대에 대한 추억이나 아련함을 통한 표현말고는,

 

우리의 통각이 이미 너무나 고통에 '무감각'해져버려서

 

고통을 느끼거나 고통을 말하지 않는 것일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