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단일화 뜻 역사 방법


단일화의 역사 그 시작은 언제부터였을까.

그리고 단일화의 방법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단일화 이후에 두 후보는 어떤 관계를 유지했을까.

그리고 이제 펼쳐질 단일화의 미래는 무엇일까. 





단일화의 역사는 아주 예전 격동기까지는 돌아가지 말도록하자.


격동기 신민당 시절, 조봉암, 신익희까지는 너무 먼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신군부시절 이후 문민정부 시절부터 단일화를 다루도록하자.


사실 노태우 정권이 들어설 수 있는 이유 자체가 

김영삼 김대중, 두 김의 단일화 합의 실패가 그 결정적 이유라고 들 수 있다.

그 이후에 단일화는 야권의 집권에 결정적 역할을 하기 시작한다.






그 시초가 되었던 것이 바로 김대중 김종필의 DJP연합.


김대중과 김종필의 단일화 방식은 바로 '담판'이었다.


김대중과 김종필 두 당의 총재가 서로 담판을 지은 것이다.

그래서 여론조사나 국민경선과 같은 방법 없이 그대로 김대중으로 단일화 되었다.







물론 1997년 선거에서 단일화보다 결정적인 변수였던 것은

우리가 추앙해 마지 않는 이인제 옹의 경선 불복후 대선후보 출마였다.


여기에 대해서는 나중에 한 번 다루도록하자.

굉장히 재미있는 선거였다.






그리고 다음 단일화의 역사로 볼 수 있는 것이

노무현 정몽준의 단일화.


지금 정몽준은 여당에서도 의원들에게만 지분이 있는 정도지만

당시 월드컵 열기를 등에 업은 정몽준의 인기란 대단한 것이였다.



그래서 이회창 1강 정몽준 1중 노무현 1약으로 평가하기도 할 정도였다.








지금의 안철수 신드롬 보다 약간 못 미칠 정도로 보면 되겠다.

그러나 당시 이회창 대세론에는 역시 미치지 못했고

노무현 후보와의 단일화를 꾀하게 된다.



이 단일화에서 중요하게 봐야할 것은 서로의 이념적 가치가 

꼭 들어맞는다고 보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같은 가치를 공유하지는 않지만 승리를 위해 연합했다는 것은

비판 받을만한 소지가 있지만 어쨌건 정치란 그런 것이다.


적과도 이익을 위해서는 손을 잡을 수도 있어야 하는 것이다.



적과의 동침도 해내야 하는 것이  바로 정치



그리고 이때 1약으로 평가받던 노무현 후보는 단일화 룰에서

소위 '통큰 양보'를 통해 다시 한 번 지지율을 반등시키며

시원시원한 이미지, 용기있는 이미지, 젊은 이미지 등을 통해

정몽준 후보를 이기는 반전을 얻어낸다.


이 당시 사용했던 단일화 방식은 여론조사 한 방 방식이었다.

여론조사가 0.01 퍼센트라도 높은 쪽이 한 방에 싹슬이 하는 방식이다.


깨지기 직전까지 갔던 단일화 논의가 성공했고 

그 때문에 결국 선거에서 이기게 된다.






이때도 당시의 전망은 정몽준 후보의 압승으로 평가되었지만

오히려 투표함을 까보니 노무현 후보의 승리로 결과는 나왔다.


여러가지 추측들이 있다. 뭐 여론조사 기관이 문제였다,

여론조사 항목의 문항이 문제였다라는 말도 있지만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노무현의 저력이었으며 

노무현의 여러가지 승부사적 결정들이 그를 만들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여론조사 기관이나 여론조사 문항으로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 같다.







마지막 단일화는 가장 최근에 있었던 4.11 서울시장 재보선 선거

두 박, 박영선 박원순의 단일화였다.

박영선 박원순의 단일화는 두 가지 방식의 혼합이었다.


여론조사와 체육관 경선 방식을 혼합해서

결정하는 것이었다. 당시 두 가지의 혼합방식을 통해

박원순 후보가 단일화에 성공했고 

가장 최근 단일화 역사의 한 조각이 되었다.


지금 최근의 단일화는 어떻게 될까.



가장 결정적으로 시간이 없다. 


이미 단일화 시간을 못 박은 것이 25일이고 

단 4일 밖에 남지 않았다.


그 때 동안 경선인단을 모집할 시간도 없고

경선을 개최할 시간도 없다.






단일화의 미래는 무엇일까. 합의는 될 것이다.

치킨 게임으로 가다가는 다 죽는다는 것을 알테니까.


그러나 야권이 승리를 바란다면 

그 과정이 단순히 '성사'만으로는 부족하다.